100세 시대, 국민의 평생건강권 보장은 보건간호사회로부터

정책·동향

양질의 보건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페이지 정보

  • 작성자 보건간호사회
  • 작성일 19-12-27 13:51
  • 조회 8,413회
  • 댓글 0건

본문

 

양질의 보건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연구결과 공개 -

<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주요 결과 >

  • (개요) 보건의료인력 직종별* 실태 파악을 위해 직종별 활동 현황 및 고용형태, 근무여건 등에 대한 인식 설문 조사를 시행함
    *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치과위생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13개 직종 1만8000명
  • (기본 특성) 의사·치과의사·한의사는 요양기관 근무비율이 높은 편(80% 이상)이나, 한약사(60.7%)·작업치료사(43.1%)는 낮은 편임
    * 요양기관 : 의료기관(상급·종합병원, 병·의원, 요양병원, 치과 병·의원, 한방 병·의원), 약국, 희귀·필수의약품센터, 보건기관(보건소 등), 보건진료소 등
    ** 비요양기관 : 사회복지시설, 연구소, 관공서 및 공공기관, 일반 기업체 등
    • 요양기관 활동 인력 중 의사·치과의사·한의사는 남성이 80% 이상이며, 간호사·간호조무사·치과위생사·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여성이 90% 이상임
    • 요양기관 활동 인력 중 간호사는 20대, 약사는 30대, 치과의사·한의사·간호조무사는 40대, 의사는 50대 비중이 높음
  • (월평균 수입) 요양기관 활동 인력의 지역별 월평균 수입은 의사·약사·한약사는 농촌 지역, 치과의사·한의사는 중소도시, 간호사·간호조무사는 대도시에 근무하는 인력의 수입이 많음
    • 다른 직종과 달리 의사(요양 1,342만 원 vs 비요양 1,113만 원), 치과의사(요양 1,002만 원 vs 비요양 552만 원), 한의사(요양 702만 원 vs 비요양 436만 원), 간호사(요양 329만 원 vs 비요양 268만 원) 등은 요양기관 활동 인력이 비요양기관 활동 인력보다 수입이 많음
  • (정규직 비율) 요양기관은 대부분 직종에서 정규직 비율이 80% 이상이며, 비요양기관에 비해 정규직 비율이 높은 편
  • (근무시간) 요양기관 활동 인력의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의사 45.9시간, 치과의사 45.0시간, 한의사 49.1시간임
    •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치과위생사는 요양기관 활동 인력이 비요양기관에 비해 근무시간이 길었으며, 다른 직종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 (근무형태) 요양기관 종사 인력의 경우 간호사는 3교대(54.8%)–상근직(37.6%) 순으로 많으며, 간호조무사는 상근직(63.5%) - 3교대(27.2%) 순임
    • 월평균 야간(낮/밤 교대근무 시 밤 근무) 근무횟수는 간호사 4.0회, 간호조무사 2.5회이며 종별로는 간호사는 상급종합병원(4.4회), 간호조무사는 요양병원(4.6회)의 야간 근무횟수 많음
  • (이직) 약사(3.3회)-물리치료사(2.9회)-방사선사(2.8회)-간호조무사(2.7회)-치과위생사(2.5회) 순으로 이직횟수 많음
    • 이직 사유로는 대부분 직종에서 보수 및 소득수준이 1순위임
  • (직장 내 괴롭힘) 간호사(32.5%)-간호조무사(20.1%)-임상병리사(19.2%)-치과위생사(17.6%) 순으로 직장 내 괴롭힘 경험 비율 높음
    • 요양기관 근무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은 폭언(63.6%) -업무 배제 및 몰아주기(26.2%) 순으로 많았으며, 괴롭힘 가해자는 상급자(65.0%), 동료(18.0%)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유의사항) 설문 조사를 통한 주관적 인식에 대한 조사이므로 객관적인 자료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함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국내 보건의료인력의 활동 현황과 근무여건 등에 대한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 조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연구책임자 신영석 선임연구위원)이 실시하였으며, 보건의료인력 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직종별 활동 현황 및 근무여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결과는 ‘보건의료인력지원법’ 제정(’19.10월 시행) 이전에 보건의료직종을 대상으로 ’18년 11~12월에 시행한 설문 조사에 대한 분석이 주된 내용이다.

20개 보건의료직종을 대상으로 웹 기반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응답자 수는 19,072명이었다.

응답자 수가 100명 미만으로 분석이 어려운 7개 직종을 제외하고, 13개 직종 18,244명에 대해 조사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 (분석대상)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치과위생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13개 직종

* (분석제외) 조산사, 보건교육사, 안경사, 영양사, 치과기공사, 응급구조사, 요양보호사 등 응답자 수가 100명 미만인 7개 직종

다만, 분석대상 수가 매우 작은 직역은 결과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주관적 인식에 대한 조사이므로 임금·근무형태 등에서 실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근무여건 인식조사 >

1) 보건의료인력 활동 현황

<보건의료인력 분석대상 및 활동 현황>

(단위 : 명, %)

보건의료인력 분석대상 및 활동 현황 - 구분, 총 분석대상, 요양기관 근무 인력, 비요양기관 근무 인력, 비활동인력으로 구성
구분총 분석대상요양기관 근무 인력비요양기관 근무 인력비활동인력
의사591525 (88.8%)44 ( 7.4%)22 ( 3.7%)
치과의사499459 (92.0%)18 ( 3.6%)22 ( 4.4%)
한의사1,2921,148 (88.9%)44 ( 3.4%)100 ( 7.7%)
약사679573 (84.4%)72 (10.6%)34 ( 5.0%)
한약사14588 (60.7%)35 (24.1%)22 (15.2%)
간호사6,9354,505 (65.0%)1,165 (16.8%)1,265 (18.2%)
간호조무사5,0903,360 (66.0%)335 ( 6.6%)1,395 (27.4%)
물리치료사382262 (68.6%)79 (20.7%)41 (10.7%)
작업치료사511220 (43.1%)220 (43.1%)71 (13.9%)
임상병리사648511 (78.9%)73 (11.3%)64 ( 9.9%)
방사선사507401 (79.1%)41 ( 8.1%)65 (12.8%)
치과위생사711450 (63.3%)90 (12.7%)171 (24.1%)
보건의료
정보관리사
254209 (82.3%)22 (8.7%)23 (9.1%)
18,24412,711(69.6%)2,239(12.3%)3,295(18.1%)

① (활동 현황) 응답자 중 요양기관 근무비율이 높은 직종은 치과의사(92.0%), 한의사(88.9%), 의사(88.8%), 약사(84.4%) 순이다.

비요양기관 근무비율은 작업치료사(43.1%), 한약사(24.1%), 물리치료사(20.7%), 간호사(16.8%) 순으로 높았으며, 비활동인력 비율은 간호조무사(27.4%), 치과위생사(24.1%), 간호사(18.2%), 한약사(15.2%) 순으로 높았다.

* 비활동 간호사의 현재 상태는 퇴직 53.0%, 미취업 29.4%, 출산휴가·육아휴직 4.4% 등으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비활동 기간은 2.37년, 비활동 이유는 ‘과중한 업무량’(15.5%) - ‘3교대 등 근무형태’(14.3%) - ‘가사, 임신, 출산, 자녀 양육’(14.2%) 순이었다.

② (성별) 요양기관 근무 인력 중 치과의사(84.5%), 한의사(84.2%), 의사(83.0%), 한약사(81.8%)는 남성 비율이 높았으며, 치과위생사(99.1%), 간호조무사(96.1%), 간호사(95.8%), 보건의료정보관리사(90.9%)는 여성 비율이 높았다.

대부분 직종에서 요양기관과 비요양기관의 성별 활동 경향이 유사하였으나, 의사는 요양기관에서는 남성 비율(83.0%)이 높았고 비요양기관에서는 여성 비율(64.4%)이 높았다.

* 의사 응답 현황 : (전체) 591명 (요양기관) 525명 (비요양기관) 44명 (비활동인력) 22명

한편, 비활동인력은 대부분 직종에서 여성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보건의료인력 성별 요양기관 활동 현황 >

(단위 : 명, %)

보건의료인력 성별 요양기관 활동 현황 - 구분,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 치료사, 작업 치료사, 임상 병리사, 방사 선사, 치과 위생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계로 구성
구분의사치과의사한의사약사한약사간호사간호조무사물리 치료사작업 치료사임상 병리사방사 선사치과 위생사보건의료정보관리사
합계525 (88.8%)459 (92.0%)1,148 (88.9%)573 (87.3%)88 (60.7%)4,505 (65.0%)3,360 (66.0%)262 (68.6%)220 (43.1%)511 (78.9%)401 (79.1%)450 (63.3%)209 (82.3%)12,711 (69.6%)
남성436 (83.0%)388 (84.5%)967 (84.2%)289 (50.4%)72 (81.8%)191 (4.2%)130
(3.9%)
111
(42.4%)
81
(36.8%)
130
(25.4%)
304
(75.8%)
4
(0.9%)
19
(9.1%)
3,122
(24.6%)
여성89 (17.0%)71 (15.5%)181 (15.8%)284 (49.6%)16 (18.2%)4,314 (95.8%)3230
(96.1%)
151
(57.6%)
139
(63.2%)
381
(74.6%)
97
(24.2%)
446
(99.1%)
190
(90.9%)
9,589
(76.4%)

※ 괄호 안의 비율은 합계의 경우 직종별 인력 중 요양기관 활동 인력 비율, 남성·여성의 경우 직종별 요양기관 활동 인력 중 각 성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

③ (연령별) 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응답자 중 간호사·작업치료사·임상병리사·치과위생사·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20대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약사·물리치료사·방사선사는 30대, 치과의사·한의사·한약사·간호조무사는 40대, 의사는 50대 비중이 가장 높았다.

<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연령 분포>

(단위 : 명, %)

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연령 분포 - 구분, 의사, 치과 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간호사, 간호 조무사, 물리 치료사, 작업 치료사, 임상 병리사, 방사 선사, 치과 위생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로 구성
구분의사치과 의사한의사약사한약사간호사간호 조무사물리 치료사작업 치료사임상 병리사방사 선사치과 위생사보건의료정보관리사
20대6
(1.1%)
32
(7.0%)
161
(14.0%)
52
(9.1%)
17
(19.3%)
1,798
(39.9%)
487
(14.5%)
100
(38.2%)
133
(60.5%)
192
(37.6%)
77
(19.2%)
228
(50.7%)
92
(44.0%)
30대79
(15.1%)
136
(29.6%)
349
(30.4%)
214
(37.4%)
29
(33.0%)
1,261
(28.0%)
673
(20.0%)
113
(43.1%)
77
(35.0%)
145
(28.4%)
114
(28.4%)
124
(27.6%)
51
(24.4%)
40대150
(28.6%)
142
(30.9%)
435
(37.9%)
160
(27.9%)
35
(39.8%)
830
(18.4%)
1250
(37.2%)
36
(13.7%)
9
(4.1%)
112
(21.9%)
100
(24.9%)
67
(14.9%)
48
(23.0%)
50대178
(33.9%)
109
(23.7%)
170
(14.8%)
109
(19.0%)
5
(5.7%)
520
(11.6%)
896
(26.7%)
12
(4.6%)
1
(0.5%)
61
(11.9%)
91
(22.7%)
31
(6.9%)
18
(8.6%)
60대
이상
112
(21.3%)
40
(8.7%)
33
(2.9%)
38
(6.6%)
2
(2.3%)
96
(2.1%)
54
(1.6%)
1
(0.4%)
-
(0.0%)
1
(0.2%)
19
(4.7%)
-
(0.0%)
-

※ 각 셀 안의 숫자는 요양기관 근무 인력 중 각 연령대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

④ (지역별)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모두 요양기관 근무 인력, 비요양기관 근무 인력, 비활동인력 모두 응답자 중 지역 비율은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 순으로 높았다.

* 대도시(특별시·광역시), 중소도시(특별시·광역시를 제외한 시), 농촌 지역(군 지역(광역시 제외))

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수도권 비율은 의사 48.8%, 간호사 51.4%, 간호조무사 42.2%로 나타났다.

<지역별 요양기관 근무 현황>

(단위 : 명, %)

지역별 요양기관 근무 현황 - 구분,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로 구성
구분의사간호사간호조무사
전체525(100%)4,505(100%)3,360(100%)
시도서울특별시137(26.1%)1131(25.1%)623(18.5%)
부산광역시39(7.4%) 386(8.6%)304(9.1%)
대구광역시37(7.1%)194(4.3%) 157(4.7%)
대전광역시24(4.6%)135(3.0%) 130(3.9%)
울산광역시12(2.3%)75(1.7%) 84(2.5%)
인천광역시23(4.4%)231(5.1%) 152(4.5%)
광주광역시14(2.7%)129(2.9%) 121(3.6%)
경기도96(18.3%)953(21.2%) 642(19.1%)
강원도14(2.7%)148(3.3%) 115(3.4%)
경상남도24(4.6%) 322(7.2%) 235(7.0%)
경상북도32(6.1%) 173(3.8%) 177(5.3%)
충청남도22(4.2%) 139(3.1%) 148(4.4%)
충청북도19(3.6%) 126(2.8%) 124(3.7%)
전라남도14(2.7%) 150(3.3%) 107(3.2%)
전라북도14(2.7%) 172(3.8%)206(6.1%)
제주특별자치도4(0.8%) 41(0.9%) 35(1.0%)
세종특별자치시-(0.0%)-(0.0%)-(0.0%)
수도권 비율256(48.8%) 2315(51.4%) 1417(42.2%)
지역대도시289(55.0%)2326(51.6%)1627(48.4%)
중소도시184(35.0%)1790(39.7%) 1231(36.6%)
농촌 지역53(10.0%)389(8.6%) 502(15.0%)

※ 요양기관 및 비요양기관 근무 인력은 근무지 소재지 기준, 비활동인력은 거주지 기준

⑤ (근무 연수) 면허취득 후 경과 연수는 의사(25.5년), 치과의사(17.0년), 한의사(14.3년)는 현재 요양기관에 근무 중인 인력이 가장 길었으며, 간호사(19.1년)와 간호조무사(14.9년)는 현재 비요양기관에 근무 중인 인력이 가장 길었다.

현재 기관에 근무한 연수를 비교하면, 요양기관에 근무 중인 의사(13.0년), 치과의사(10.2년), 한의사(8.3년), 간호사(7.6년)는 현재 비요양기관 근무 중인 경우보다 근무 연수가 긴 편이었다.

<근무 연수 현황>

(단위 : 년)

근무 연수 현황 - 구분, 면허취득 후 경과 연수(요양기관 근무, 비요양기관 근무, 비활동 인력), 현 기관 근무 연수(요양기관 근무, 비요양기관 근무), 요양기관 근무 연수(요양기관 근무, 비활동 인력)로 구성
구분면허취득 후 경과 연수*현 기관 근무 연수요양기관 근무 연수
요양기관
근무
비요양기관
근무
비활동
인력
요양기관
근무
비요양기관
근무
요양기관
근무
비활동
인력
의사25.523.619.813.011.418.113.2
치과의사17.016.812.710.29.714.56.8
한의사14.310.09.58.33.411.45.6
약사16.815.621.96.55.711.710.9
간호사13.319.113.97.67.59.54.8
간호조무사12.614.910.25.35.67.43.1

* 2018년 기준으로 의사 면허 취득 후 연수를 계산함

2) 수입 등 일반 현황

① 월평균 수입 (기본급, 고정수당, 정기상여금, 제 수당, 복리후생비 등 포함)

요양기관 근무 인력 평균 월수입(세전)은 의사 1,342만 원, 치과의사 1,002만 원, 한의사 702만 원, 약사 555만 원, 한약사 319만 원, 간호사 329만 원(신규간호사 276만 원),

간호조무사 186만 원, 물리치료사 286만 원, 작업치료사 226만 원, 임상병리사 294만 원, 방사선사 352만 원, 치과위생사 247만 원, 보건의료정보관리사 304만 원으로 나타났다.

종별로는 의사와 약사는 의원 및 약국, 치과의사는 치과의원, 한의사와 한약사는 한의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는 상급종합병원 근무 인력이 각각 수입이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의사·약사·한약사는 농촌 지역, 치과의사·한의사는 중소도시, 간호사·간호조무사는 대도시에 근무하는 인력이 각각 수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기관 종별·지역별 월평균 총수입>

(단위 : 만원)

요양기관 종별·지역별 월평균 총수입 - 구분, 요양기관 평균, 요양기관 종별(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약국, 보건기관·보건소), 지역 구분(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 비요양기관 평균으로 구성
구분요양기관
평균
요양기관 종별지역 구분비요양기관
평균
상급
종합병원
종합병원병원요양병원치과병원한방병원의원치과의원한의원약국보건기관
·보건소
대도시중소도시농촌 지역
의사1,3429771,1661,3791,258--1,510----1,3101,3811,4041,113
치과의사1,002572799575-728--1,098--3029761,037969552
한의사702623706584601-645427-762-317716735598436
약사555546480397364--703--569513534542590554
한약사319-----296--321--321302396367
간호사329369332301271--277---366335324318268
간호조무사186240223194173--181198170--187186185191

비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평균 월수입은 의사 1,113만 원, 치과의사 552만 원, 한의사 436만 원, 약사 554만 원, 한약사 367만 원, 간호사 268만 원,

간호조무사 191만 원, 물리치료사 281만 원, 작업치료사 225만 원, 임상병리사 327만 원, 방사선사 384만 원, 치과위생사 377만 원, 보건의료정보관리사 373만 원으로 나타났다.

의료인(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의 경우 요양기관 근무 인력이 비요양기관에 비해 수입이 많았으나 다른 직종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직종별 월 평균 수입 > : 그림 붙임 참조

② 고용형태

요양기관 종사 인력 중 정규직 비율은 의사 85.3%, 치과의사 89.2%, 한의사 87.3%, 약사 96.3%, 한약사 89.3%, 간호사 95.3%, 간호조무사 88.9%, 물리치료사 90.8%, 작업치료사 81.4%, 임상병리사 86.7%, 방사선사 94.8%, 치과위생사 88.4%, 보건의료정보관리사 85.2%로 대부분 직종에서 80%를 웃돌았다.

비요양기관에서는 의사 83.0%, 치과의사 61.1%, 한의사 54.5%, 약사 90.3%, 한약사 88.6%, 간호사 40.3%, 간호조무사 71.9%, 물리치료사 83.5%, 작업치료사 50.9%, 임상병리사 83.0%, 방사선사 85.4%, 치과위생사 77.8%, 보건의료정보관리사 54.5%로 요양기관보다 대체로 정규직 근무비율이 낮았다.

③ 주당 근무시간

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주당 근무시간은 의사 45.9시간, 치과의사 45.0시간, 한의사 49.1시간, 약사 53.7시간, 한약사 45.3시간, 간호사 38.6시간, 간호조무사 36.6시간, 물리치료사 39.3시간, 작업치료사 36.1시간, 임상병리사 41.0시간, 방사선사 43.0시간, 치과위생사 37.2시간, 보건의료정보관리사 38.3시간이었다.

비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주당 근무시간은 의사 42.8시간, 치과의사 42.1시간, 한의사 42.4시간, 약사 40.8시간, 한약사 41.3시간, 간호사 39.4시간, 간호조무사 36.9시간, 물리치료사 40.4시간, 작업치료사 37.3시간, 임상병리사 43.0시간, 방사선사 42.6시간, 치과위생사 33.8시간, 보건의료정보관리사 38.8시간이었다.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방사선사, 치과위생사는 요양기관 근무 인력이 비요양기관에 비해 근무시간이 길었으나, 다른 직종에서는 종사 기관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그림 붙임 참조 >

3) 간호사·간호조무사 근무형태

* 근무형태의 경우 교대 근무자 비율이 높고 응답자 표본이 상대적으로 많은 간호사, 간호조무사 직종에 대해서만 분석 수행

(근무형태) 전체적으로 요양기관의 간호사는 3교대(54.8%) > 상근직(37.6%) 순으로 많았으며, 간호조무사는 상근직(63.5%) > 3교대(27.2%) 순으로 많았다.

<간호사 의료기관 종별 근무형태>

(단위: %)

간호사 의료기관 종별 근무형태 - 구분, 전체, 의료기관 종별(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소 및 보건기관, 기타)로 구성
구분전체의료기관 종별
상급
종합병원
종합
병원
병원요양
병원
의원보건소 및 보건기관기타
상근37.6 26.2 35.7 43.8 39.2 76.1 90.7 74.1
3교대54.8 69.7 59.0 47.9 40.2 11.2 0.9 16.7
2교대2.5 2.4 2.0 1.6 4.4 4.5 1.7 3.7
야간전담2.7 0.1 0.9 3.8 13.2 2.2 1.7 0.0
휴일전담0.0 0.1 0.0 0.0 0.0 0.0 0.0 0.0
단시간 근무0.4 0.2 0.3 0.5 0.2 4.5 0.9 1.9

※ 상근 : 일정한 시간대에 고정 근무

※ 응답자 수가 적은 한방병원, 치과병원, 치과, 한의원은 종별 세부 분석에서 제외함

<간호조무사 의료기관 종별 근무형태>

(단위: %)

간호조무사 의료기관 종별 근무형태 - 구분, 전체, 의료기관 종별(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기타)로 구성
구분전체의료기관 종별
상급
종합병원
종합
병원
병원요양
병원
의원치과
의원
한의원기타
상근63.5 48.0 55.8 51.5 15.9 89.2 98.4 93.4 84.6
3교대27.2 43.0 38.0 36.4 71.7 2.6 0.0 0.0 4.4
2교대3.2 6.0 2.8 6.3 5.6 1.7 0.0 0.4 1.8
야간전담2.3 1.0 0.3 2.6 5.9 1.4 0.0 0.0 9.9
휴일전담0.1 0.0 0.3 0.0 0.0 0.2 0.0 0.0 0.0
단시간 근무1.8 0.0 1.8 1.2 0.0 2.9 0.8 4.3 2.2
기타1.9 2.0 0.9 2.1 0.9 2.1 0.8 2.0 6.2

※ 응답자 수가 적은 한방병원, 치과병원, 조산원, 약국, 보건소 및 보건기관은 종별 분석에서 제외함

(근무시간) 간호사는 주당 평균 38.6시간(인수인계 6.2시간 포함), 간호조무사는 36.6시간(인수인계 15.1시간 포함)을 근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간호사는 상급종합병원(40.8시간), 간호조무사는 한의원(38.5시간)의 주당 근무시간이 가장 길었다.

(야간근무) 월평균 야간근무 횟수는 간호사는 4.0회, 간호조무사는 2.5회이며, 간호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조무사는 요양병원의 야간근무 빈도가 높았다.

<간호사 의료기관 종별 근무시간 및 야간 근무횟수>

(단위: 시간, 회)

간호사 의료기관 종별 근무시간 및 야간 근무횟수 - 구분, 전체, 의료기관 종별(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로 구성
구분전체의료기관 종별
상급
종합병원
종합병원병원요양병원의원치과의원한의원
주당 근무시간(시간)38.6 40.8 38.6 37.1 37.1 35.2 34.6 35.5
주당 인수인계 시간(시간)6.2 5.0 5.6 7.7 8.7 6.7 8.1 10.7
월평균 야간 근무횟수(해당자만)4.0 4.4 4.2 3.9 4.1 1.0 1.1 1.3

※ 응답자 수가 적은 한방병원, 치과병원, 치과, 한의원은 종별 세부 분석에서 제외함

<간호조무사 의료기관 종별 근무시간 및 야간 근무횟수>

(단위: 시간, 회)

간호조무사 의료기관 종별 근무시간 및 야간 근무횟수 - 구분, 전체, 의료기관 종별(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기타)로 구성
구분전체의료기관 종별
상급
종합병원
종합
병원
병원요양
병원
의원치과
의원
한의원기타
주당 근무시간(시간)36.6 36.1 34.9 37.0 34.9 38.2 36.5 38.5 36.4
주당 인수인계 시간(시간)15.1 12.3 11.7 14.6 14.9 15.3 16.7 17.0 16.6
월평균 야간 근무횟수(해당자만)2.5 3.0 2.9 3.6 4.6 1.2 0.9 0.6 1.6

※ 응답자 수가 적은 한방병원, 치과병원, 치과, 한의원은 종별 세부 분석에서 제외함

4) 근무여건

① 진료환자 수

(외래) 일주일간 의료인 1인당 외래환자 수는 의사 235.2명, 치과의사 98.0명, 한의사 115.5명, 간호사 153.2명이며, 의원급의 외래환자 수가 다른 의료기관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 외래 진료환자 수>

(단위: 명)

의료기관 종별 외래 진료환자 수 - 진료환자 수, 전체, 의료기관 종별(상급 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소·보건기관)로 구성
진료환자 수전체의료기관 종별
상급
종합병원
종합병원병원요양병원의원보건소·보건기관
의사235.2117.8162.7183.215.2322.1-
치과의사98.091.081.7-101.652.1
한의사115.576.459.1-137.246.8
간호사153.2136.8169.5267.017.94324.3-

(입원) 일주일간 의료인 1인당 입원환자 수는 의사 11.8명, 간호사 51.4명이며 의사는 요양병원, 간호사는 병원급의 입원환자가 많았다.

* 치과의사의 95.3%, 한의사의 82.2%가 입원환자를 진료하지 않았으며, 해당 직종의 주당 평균 입원환자 수를 분석하지는 않음

<의사 1인당 진료환자 수>

(단위: 명)

의사 1인당 진료환자 수 - 구분, 의료기관 종별(평균, 상급 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기타)로 구성
구분의료기관 종별
평균상급
종합병원
종합병원병원요양병원의원기타
1주일간 총 외래환자 (A)235.2 117.8 162.7 183.2 15.2 322.1 178.3
1주일간 총 입원환자 (B)11.8 21.7 17.6 19.6 66.1 2.4 0.4
1주일간 환자 수(A+B)31.6 31.6 31.3 35.0 67.1 29.3 15.2

※ 외래환자 12명은 입원환자 1명으로, 수술환자 1명은 입원환자 1명으로 환산함

※ 응답자 수가 적은 한방병원, 치과병원, 치과, 한의원 제외

<간호사 1인당 진료환자 수>

(단위: 명)

간호사 1인당 진료환자 수 - 구분, 의료기관 종별(평균,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보건소 및 보건기관, 기타)로 구성
구분의료기관 종별
평균상급
종합병원
종합병원병원요양병원의원보건소 및 보건기관기타
1주일간 총 외래환자 (A)153.2 136.8 169.5 267.0 17.9 324.3 109.3 101.2
1주일간 총 입원환자 (B)51.4 49.2 57.3 59.1 52.4 19.5 7.9 30.4
1주일간 환자 수(A+B)61.7 57.9 67.2 79.9 53.8 46.6 17.0 39.0

※ 외래환자 12명은 입원환자 1명으로, 수술환자 1명은 입원환자 1명으로 환산함

※ 응답자 수가 적은 한방병원, 치과병원, 치과, 한의원 제외

② 직무상 어려움

요양기관 종사 인력의 경우 의사·치과의사는 과도한 진료 외 업무, 한의사·간호사·간호조무사·물리치료사·작업치료사·임상병리사·방사선사·치과위생사는 소득수준, 약사는 과중한 업무량(개국 약사는 과도한 약사(藥事) 외 업무), 한약사는 타 직종과의 갈등, 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조직 내 인사문제를 직무상 가장 어려운 점으로 응답하였다.

한편, 비요양기관 종사자의 경우에는 의사·한의사·한약사·간호사·간호조무사·작업치료사·임상병리사는 소득수준, 치과의사는 과도한 진료 외 업무, 약사·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과중한 업무량, 물리치료사·치과위생사는 조직 내 인사문제, 방사선사는 휴직의 어려움을 직무상 가장 어려운 점으로 응답하였다.

<근무 중 직무 어려움에 대한 인식>

근무 중 직무 어려움에 대한 인식 - 구분, 요양기관(1순위, 2순위, 3순위), 비요양기관(1순위, 2순위, 3순위)로 구성
구분요양기관비요양기관
1순위2순위3순위1순위2순위3순위
의사과도한 진료 외 업무육체·정신적 소진소득수준소득수준과중한 업무량결혼·가사, 임신, 자녀 양육
치과의사과도한 진료 외 업무육체·정신적 소진소득수준과도한 진료 외 업무소득수준과중한 업무량
한의사소득수준과도한 진료 외 업무결혼·가사, 임신, 자녀 양육소득수준과중한 업무량과도한 진료 외 업무
약사과중한 업무량과도한 약사 (藥事) 외 업무육체·정신적 소진과중한 업무량조직 내 인사문제결혼·가사, 임신, 자녀 양육
한약사타 직종과 갈등소득수준개인 능력개발 한계소득수준과중한 업무량개인 능력개발 한계
간호사소득수준과중한 업무량육체·정신적 소진조직 내 인사문제소득수준과중한 업무량
간호조무사소득수준휴직의 어려움조직 내 인사문제소득수준조직 내 인사문제휴직의 어려움
물리치료사소득수준휴직의 어려움조직 내 인사문제조직 내 인사문제소득수준휴직의 어려움
작업치료사소득수준조직 내 인사문제육체·정신적 소진소득수준조직 내 인사문제개인 능력개발 한계
임상병리사소득수준조직 내 인사문제휴직의 어려움소득수준과중한 업무량조직 내 인사문제
방사선사소득수준휴직의 어려움조직 내 인사문제휴직의 어려움개인 능력개발 한계조직 내 인사문제
치과위생사소득수준휴직의 어려움육체·정신적 소진조직 내 인사문제소득수준휴직의 어려움
보건의료
정보관리사
조직 내 인사문제소득수준과중한 업무량과중한 업무량소득수준육체·정신적 소진

③ 이직

(이직 경험률) 의사 53.6% 치과의사 47.4%, 한의사 55.1%, 약사 68.2%, 한약사 58.5%, 간호사 73.0%, 간호조무사 65.2%, 물리치료사 85.9%, 작업치료사 72.3%, 임상병리사 67.7%, 방사선사 69.2%, 치과위생사 75.6%, 보건의료정보관리사 55.8%로 나타났으며,

물리치료사-치과위생사-간호사 순으로 이직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이직횟수) 의사 2.4회, 치과의사 2.3회, 한의사 2.2회, 약사 3.3회, 한약사 2.0회, 간호사 2.4회, 간호조무사 2.7회, 물리치료사 2.9회, 작업치료사 2.1회, 임상병리사 2.4회, 방사선사 2.8회, 치과위생사 2.5회, 보건의료정보관리사 2.2회였으며,

약사-물리치료사-방사선사-간호조무사 순으로 이직이 잦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그림 붙임 참조 >

(이직 사유) 대부분 직종에서 보수 및 수입 수준이 1순위였으며, 그밖에 과중한 업무량, 자기개발, 열악한 근무환경, 3교대 등 근무형태가 주요 이직 사유로 조사되었다.

특히 요양기관 근무 간호사는 낮은 보수 수준(21.2%), 과중한 업무량(15.5%), 열악한 근무환경(10.3%) 등이 주요 이직 사유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요양기관 및 비요양기관별 최근 이직 사유 >

요양기관 및 비요양기관별 최근 이직 사유 - 구분, 요양기관(1순위, 2순위, 3순위), 비요양기관(1순위, 2순위, 3순위)로 구성
구분요양기관비요양기관
1순위2순위3순위1순위2순위3순위
의사보수·수입 수준 (26.4%)자기개발 (13.9%)과중한 업무량 (10.6%)자기개발 (22.2%)조직문화 (16.7%)과중한 업무량 (13.9%)
간호사보수·수입 수준 (21.2%)과중한 업무량 (15.5%)열악한 근무환경 (10.3%)보수·수입 수준 (19.2%)3교대 등 근무형태 (14.0%)과중한 업무량 (12.8%)
간호조무사보수·수입 수준 (29.1%)과중한 업무량 (13.9%)열악한 근무환경 (10.3%)보수·수입 수준 (24.8%)과중한 업무량 (13.2%)열악한 근무환경 (10.6%)

※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외의 직종은 기관 유형별 분석을 수행하지 않음

< 보건의료직종별 최근 이직 사유 >

보건의료직종별 최근 이직 사유 - 구분, 1순위, 1순위 비율, 2순위, 2순위 비율, 3순위, 3순위 비율로 구성
구분1순위1순위 비율2순위2순위 비율3순위3순위 비율
의사보수·수입 수준25.2%자기개발14.4%과중한 업무량10.8%
치과의사보수·수입 수준47.3%자기개발24.3%과중한 업무량15.0%
한의사보수·수입 수준30.6%자기개발15.1%열악한 근무환경8.6%
약사보수·수입 수준24.7%과중한 업무량12.1%열악한 근무환경11.0%
한약사보수·수입 수준23.0%자기개발15.8%열악한 근무환경13.3%
간호사보수·수입 수준20.6%과중한 업무량14.9%3교대 등 근무형태9.8%
간호조무사보수·수입 수준28.6%과중한 업무량13.8%열악한 근무환경10.3%
물리치료사보수·수입 수준22.8%열악한 근무환경17.2%과중한 업무량16.0%
작업치료사보수·수입 수준22.6%열악한 근무환경16.3%과중한 업무량12.6%
임상병리사보수·수입 수준21.0%열악한 근무환경16.0%과중한 업무량15.4%
방사선사보수·수입 수준23.8%열악한 근무환경16.2%과중한 업무량13.5%
치과위생사보수·수입 수준20.0%과중한 업무량13.9%열악한 근무환경11.6%
보건의료정보관리사보수·수입 수준22.1%과중한 업무량14.3%열악한 근무환경12.3%

④ 직장 내 괴롭힘

(경험률)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의사 10.2%, 치과의사 7.3%, 한의사 4.3%, 약사 6.2%, 한약사 4.1%, 간호사 32.5%, 간호조무사 20.1%, 물리치료사 13.2%, 작업치료사 16.4%, 임상병리사 19.2%, 방사선사 15.6%, 치과위생사 17.6%, 보건의료정보관리사 14.3% 등으로

간호사-간호조무사-임상병리사 순으로 직장 내 괴롭힘 경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괴롭힘 유형) 요양기관 근무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은 폭언(63.6%)-업무 배제 및 몰아주기(26.2%) 순으로 많았으며, 괴롭힘 가해자는 상급자(65.0%), 동료(18.0%) 순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그림 붙임 참조 >

⑤ 근무 만족도

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영역으로 의사·치과의사·한의사는 직업에 대한 자긍심, 약사·한약사·간호조무사·임상병리사·방사선사는 조직 내 인간관계, 물리치료사·작업치료사·치과위생사·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근무형태, 간호사는 고용 안정이라고 응답하였다.

<근무 관련 만족도 인식>

근무 관련 만족도 인식 - 구분, 요양기관(1순위, 2순위, 3순위), 비요양기관(1순위, 2순위, 3순위)로 구성
구분요양기관비요양기관
1순위2순위3순위1순위2순위3순위
의사직업에의 자긍심조직 내 인간관계고용 안정직업에의 자긍심고용 안정근로시간
치과의사직업에의 자긍심고용 안정조직 내 인간관계직업에의 자긍심고용 안정조직 내 인간관계
한의사직업에의 자긍심조직 내 인간관계고용 안정고용 안정근로시간직업에의 자긍심
약사조직 내 인간관계고용 안정직업에의 자긍심근무형태고용 안정근로시간
한약사조직 내 인간관계조직문화근무형태근무형태조직 내 인간관계고용 안정
간호사고용 안정조직 내 인간관계직업에의 자긍심근무형태근로시간직업에의 자긍심
간호조무사조직 내 인간관계근무형태직업에의 자긍심근무형태근로시간직업에의 자긍심
물리치료사근무형태조직 내 인간관계직업에의 자긍심근무형태고용 안정근로시간
작업치료사근무형태근로시간조직 내 인간관계근무형태근로시간조직 내 인간관계
임상병리사조직 내 인간관계근무형태근로시간고용 안정조직 내 인간관계근무형태
방사선사조직 내 인간관계근무형태고용 안정조직 내 인간관계직업에의 자긍심근무형태
치과위생사근무형태조직 내 인간관계직업에의 자긍심직업에의 자긍심근무형태고용 안정
보건의료
정보관리사
근무형태근로시간고용 안정근무형태조직 내 인간관계직업에의 자긍심

⑥ 전문가로서의 직업 만족도

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경우 의사 3.3점·치과의사 3.6점·한의사 3.4점·간호사 3.1점, 비요양기관 근무 인력은 의사 3.9점· 치과의사 3.7점·한의사 3.3점·간호사 3.6점으로 조사되었으며, 한의사를 제외하면 요양기관보다 비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만족도가 높았다.

* 이 항목은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에 한정하여 조사

< 직종별 전문가로서의 직업 만족도 >

직종별 전문가로서의 직업 만족도 - 구분,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로 구성
구분의사치과의사한의사간호사
요양기관 근무 인력3.3점3.6점3.4점3.1점
비요양기관 근무 인력3.9점3.7점3.3점3.6점

< 보건의료인력 현황 국제 비교 >

1) 인력 전체

간호조무사를 제외한 의사, 치과의사, 약사, 조산사, 물리치료사 등 보건의료인력 직종 전체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임상* 활동 인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환자 진료 등을 위해 의원,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활동

2016년 임상 의사와 임상 간호사 수는 각각 인구 천 명당 2.3명, 3.5명으로 OECD 평균 3.3명, 7.2명보다 낮았다.

* (의사) 오스트리아 5.1명, 노르웨이·리투아니아 4.5명, 스위스 4.3명(간호사) 노르웨이 17.5명, 룩셈부르크 11.7명, 스웨덴 11.1명, 독일 10.8명

임상 치과의사, 약사, 조산사, 물리치료사 역시 인구 천 명당 0.5명, 0.7명, 0.02명, 0.7명으로 OECD 평균 0.7명, 0.8명, 0.38명, 1.0명보다 낮았으며, 간호조무사는 3.3명으로 OECD 평균 1.8명을 상회하였다.

< 그림 붙임 참조 >

2) 의사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의 연평균 증가율(’06년~’16년)이 3.1%로 OECD 평균 1.2%보다 높은 편이나, 인구 10만 명당 의대 졸업자 수는 OECD 평균 11.9명보다 적은 7.9명으로 나타났다.

의사 수 증가율, 국토 면적 대비 의사 밀도, 젊은 의사 비율, 국민 1인당 진료 건수가 OECD 평균 대비 높았다.

<OECD 평균 대비 한국 의사 인력 현황>

OECD 평균 대비 한국 의사 인력 현황 - 구분,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명), 인구 10만 명당 의대 졸업자(명), 인구 천 명당 의사 증가율(%), 국민 1인당 연간 진료 건수, 의사 밀도(인/10㎢), 65∼74세 의사 비율(%), 1인당 의료비/GDP(%)로 구성
구분인구 천 명당 의사 수(명)인구 10만 명당 의대 졸업자(명)인구 천 명당 의사 증가율(%)국민 1인당 연간 진료 건수의사 밀도(인/10㎢)65∼74세 의사 비율(%)1인당 의료비/GDP(%)
OECD
평균
3.311.91.27.34.69.78.95
한국2.37.93.117.011.43.77.34

※ 의사 밀도는 2015년 기준, 연평균 증가율은 2006년~2016년, 이외 자료는 2016년 기준 (자료: OECD Health Statistics, OECD Environment Statistics)

3) 간호사

간호사 수의 연평균 증가율(’06년~’16년)은 5.8%로 OECD 평균 1.2%보다 높고, 인구 10만 명당 간호대 졸업자 수 역시 OECD 평균 35.7명보다 높은 43.1명이었다.

우리나라는 전체 면허취득 간호사의 절반가량이 임상 간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OECD 국가 중 면허 간호사 대비 임상 간호사의 비율이 최하위권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 평균 대비 한국 간호사 인력 현황>

OECD 평균 대비 한국 간호사 인력 현황 - 구분, 인구 천 명당 간호사 수(명), 인구 10만 명당 간호대 졸업자(명), 인구 천 명당 간호사 증가율(%), 인구 천 명당 간호조무사 수(명), 면허 간호사 대비 임상 간호사(%)로 구성
구분인구 천 명당 간호사 수(명)인구 10만 명당 간호대 졸업자(명)인구 천 명당 간호사 증가율(%)인구 천 명당 간호조무사 수(명)면허 간호사 대비 임상 간호사(%)
OECD 평균7.235.71.21.868.2
한국3.543.15.83.350.2

※ 연평균 증가율은 2006년~2016년, 이외 자료는 2016년 기준 (자료: OECD Health Statistics)

보건복지부 손호준 의료자원정책과장은 “이번 실태조사는 「보건의료인력지원법」이 제정(’19.10.24. 시행)되기 전에 실시되었으며, 1만 8천여 명의 설문 조사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보건의료인력 정책 수립의 기초 조사로서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는 「보건의료인력지원법」에 따라 3년마다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를 시행하고, 이에 기반하여 5년마다 보건의료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보건의료현장에 필요한 정책들을 체계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보건의료 실태조사와 관련된 연구결과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정보→연구/조사/발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